알고리즘/문제풀이

[프로그래머스] 최솟값 만들기 - Python

SeongOnion 2020. 12. 6. 00:24
728x90

문제 설명

 

길이가 같은 배열 A, B 두개가 있습니다. 각 배열은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배열 A, B에서 각각 한 개의 숫자를 뽑아 두 수를 곱합니다. 이러한 과정을 배열의 길이만큼 반복하며, 두 수를 곱한 값을 누적하여 더합니다. 이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값이 최소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. (단, 각 배열에서 k번째 숫자를 뽑았다면 다음에 k번째 숫자는 다시 뽑을 수 없습니다.)

예를 들어 A = [1, 4, 2] , B = [5, 4, 4] 라면

  • A에서 첫번째 숫자인 1, B에서 두번째 숫자인 5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. (누적된 값 : 0 + 5(1x5) = 5)
  • A에서 두번째 숫자인 4, B에서 세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. (누적된 값 : 5 + 16(4x4) = 21)
  • A에서 세번째 숫자인 2, B에서 첫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. (누적된 값 : 21 + 8(2x4) = 29)

즉, 이 경우가 최소가 되므로 29를 return 합니다.

배열 A, B가 주어질 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최솟값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

제한사항

  • 배열 A, B의 크기 : 1,000 이하의 자연수
  • 배열 A, B의 원소의 크기 : 1,000 이하의 자연수

 

입출력 예

 

A B Answer
[1, 4, 2] [5, 4, 4] 29
[1,2] [3,4] 10

 

<나의 풀이>

 

def solution(A,B):
    count = 0
    
    while A:
        a = max(A)
        b = min(B)

        count += a * b
        A.remove(max(A))
        B.remove(min(B))

    return count

 

접근 방법 자체는 금방 파악할 수 있었다.

 

두 리스트 간의 원소들을 구해서 나올 수 있는 최솟값은 바로 각 리스트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곱해서 더하는 것이다.

 

다시 말해, 리스트 A에서는 계속 최댓값을 빼오고, B에서는 최솟값을 빼와서 이 둘을 곱해준다.

 

곱해주고 난 후에는 해당 원소들을 삭제해준다.

 

금방 짤 수 있던 코드였고 테스트 케이스도 모두 통과하였으나 문제는 효율성 테스트였다.

 

보기좋게 실패

 

max, min, remove 모두 O(n) 만큼의 시간이 걸리고, while문도 돌아야하기 때문에 내가 짠 코드는 O(n^2)의 시간이 걸린다.

 

그렇게 답을 찾아해메던 중 무릎을 탁 치는 코드를 발견했다.

 

 

<다른 사람의 풀이>

 

def solution(A,B):
    answer = 0
    A = sorted(A)
    B = sorted(B, reverse=True)

    answer = sum([a * b for a, b in zip(A, B)])
    return answer
    

# 출저 : https://eda-ai-lab.tistory.com/487

 

remove를 해줄 필요도, 일일히 max와 min을 구해줄 필요도 없이,

 

하나의 리스트는 오름차순, 다른 하나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.

 

 

 

역시 나같은 코린이에게는 이런 간결한 코드들이 추후 다른 문제를 푸는 데 너무나도 큰 귀감이 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