알고리즘/문제풀이

[프로그래머스] Summer/Winter Coding(~2018) - 예산 / python

SeongOnion 2020. 11. 9. 00:50
728x90

문제 설명

 

S사에서는 각 부서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해 주기 위해 부서별로 물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조사했습니다. 그러나, 전체 예산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습니다. 그래서 최대한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.

물품을 구매해 줄 때는 각 부서가 신청한 금액만큼을 모두 지원해 줘야 합니다. 예를 들어 1,000원을 신청한 부서에는 정확히 1,000원을 지원해야 하며, 1,000원보다 적은 금액을 지원해 줄 수는 없습니다.

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 d와 예산 budget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최대 몇 개의 부서에 물품을 지원할 수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
  • d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이며, 길이(전체 부서의 개수)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  • d의 각 원소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을 나타내며, 부서별 신청 금액은 1 이상 100,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.
  • budget은 예산을 나타내며, 1 이상 10,000,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.

 

입출력 예

d budget result
[1,3,2,5,4] 9 3
[2,2,3,3] 10 4

 

나의 풀이

def solution(d, budget):
    answer = 0
    d = sorted(d)
    accumulated = 0 
    for num in d:
        if accumulated + num > budget:
            break
        else:
            accumulated += num
            answer += 1
    return answer

 

다행히 직관적으로 답이 잘 떠올랐던 문제.

d 리스트를 낮은 값부터 정렬해주어 낮은 예산부터 지원해주면 budget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최대 부서 수를 구할 수 있다. 사실 코드 제출 전까지는 뭔가 예외가 있을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 계속 긴가민가했다. 직관을 조금 더 믿어도 되겠다 싶었다. 

 

 

다른 사람의 풀이

def solution(d, budget):
    d.sort()
    while budget < sum(d):
        d.pop()
    return len(d)

 

작은 값부터 하나 씩 추가해줬던 나에 비해서, 이 사람은 pop을 통해서 큰 값부터 하나씩 빼주었다. 부서의 갯수 또한 len을 통해서 깔끔하게 return해주었다.